반응형 CS14 [Network] 프로토콜 , OSI 모델 , TCP/IP 모델 , 캡슐화와 역캡슐화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규칙인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OSI모델과 TCP/IP모델 및 캡슐화와 역캡슐화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프로토콜(protocol)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지켜야하는 규칙이다. OSI 모델 과거에는 같은 회사의 컴퓨터만 통신 가능했고, 연결하는 케이블이 회사마다 달라서 곤란했었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정해야 했고, IOS(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다. OSI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 모델이 된다. 컴퓨터 내부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위 그림과 같이 7계층이 나누어 일을 하며, 데이터는.. 2022. 3. 7. [Network] 비트 , 바이트 , 패킷 , LAN , WAN 네트워크 컴퓨터간 연결한 것.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정보)를 주고 받고, 웹사이트를 열람하고, 메일 송수신 등을 할 수 있음. 패킷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큰 데이터를 보내면 네트워크의 대역폭(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음. 따라서 용량이큰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 패킷은 제각각 도착하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내서 패킷이 도착하면 번호순으로 정렬하여 원래 데이터로 되돌림. 비트 컴퓨터는 0과 1만을 사용하며,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데이터라고 함. 이때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라고 함. 바이트 0또는 1인 숫자를 8개 모아 표시할 수 있음. 이 단위를 바이트라고 함. 따라서 8비트.. 2022. 1. 28. [Computer Architecture] 패리티 코드 , 해밍 코드 패리티 코드와 해밍코드는 통신 과정에서 오류가 생기는 것을 검출 및 수정하기 위한 코드이다. 패리티 코드는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과 수정 모두 가능하다. 패리티 코드(Parity Code) 패리티 비트 = 가장 끝 1비트 하나의 문자 또는 수는 8비트로 표현된다. 8비트는 ASCII Code(7비트)와 Parity Code(1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패리티 비트의 위치는 가장 끝에 있다. 패리티 비트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존재한다. 홀수 패리티: 1의 개수가 홀수개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설정한다. 짝수 패리티: 1의 개수가 짝수개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설정한다. ex) A(65) : 1000001 + 패리티 비트 홀수 패리티: 1000001+1 짝수 패리티: 1000001 + .. 2022. 1. 14. [Computer Architecture]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법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고정 소수점 (Fixed Point) 소수점이 찍힐 위치를 고정해두고 소수를 표현한다. ex) -3.2134 부호(1비트) + 정수부(15비트) + 소수부(16비트)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지수값으로 소수점을 움직이는 방식을 활용하여 실수를 표현한다. (소수점 위치 고정 안 함) 부호(1비트) + 지수부(8비트) + 가수부(23비트) · 가수: 실제값 표현 · 지수: 크기를 표현. 소수점이 어디 찍힐지 나타냄 부동 소수점 변환 과정 부호부(sign) 부호가 음이면 1, 양이면 0으로 가장 앞자리 부호부 1비트를 채운다. 가수부(mantissa) 가수의 절댓값을 2진수로 변환한다. (참고) 소수점 왼쪽에 1 하나가 남도록.. 2022. 1. 14.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