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캐시 메모리
- 빠른 중앙처리장치(CPU)와 느린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 자주 사용하는 중요한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 중앙처리장치는 캐시 메모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먼저 탐색한 후, 없으면 주기억장치에서 가져온다.
- 캐시 메모리는 속도가 빠르지만 용량이 적고 비싸다. (보통 DRAM은 주기억장치, SRAM은 캐시메모리로 사용됨)
Cache Hit & Cache Miss
CPU가 캐시 메모리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으면 Cache Hit(적중), 없어서 주기억장치에서 가져오면 Cache Miss(실패)라고 한다.
- Cache Miss 3가지
- Cold Miss : 최초로 데이터에 접근할 때 캐시 메모리가 비어있어서 발생하는 문제
- Conflict Miss : 여러개의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할 때, 같은 주소로 할당되어 발생하는 문제
- Capacity Miss : 캐시 메모리의 공간 부족 문제
- 캐시 적중률
- 필요한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서 있을 확률을 적중률(hit ratio)라고 하며, 이 적중률에 의해 캐시 메모리의 성능이 결정된다.
- 캐시 메모리는 보통 2~3개 사용되고 L1, L2, L3과 같이 레벨이 나누어져있다. L1은 용량이 제일 적지만 가장 빠르다. L1부터 찾고 없으면 L2, L3로 넘어간다.
- 필요한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서 있을 확률을 적중률(hit ratio)라고 하며, 이 적중률에 의해 캐시 메모리의 성능이 결정된다.
참조 지역성의 원리
참조 지역성이란 단기간 동안 주소 공간의 일부만 참조하는 경향을 말하며, 이를 활용하여 캐시 적중률을 높인다. 캐시 메모리에 저장할 때 해당 데이터 뿐만 아니라 옆 주소의 데이터도 가져와서 대비하는 것이다. 경향성이므로 항상 높은 적중률을 보장하지 않는다.
-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 한 번 참조한 데이터는 이후 다시 참조할 가능성이 높다.
-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 참조한 데이터 근처에 있는 데이터는 이후 참조할 가능성이 높다.
캐시 메모리 동작 원리
캐시 메모리는 데이터 메모리와 태그 메모리가 있으며, CPU가 요청한 데이터를 찾아야함
- Direct Mapped Cache
- Fully Associative Cache
- Set Associative Cache
reference
728x90
반응형
'CS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uter Architecture] 패리티 코드 , 해밍 코드 (0) | 2022.01.14 |
---|---|
[Computer Architecture]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0) | 2022.01.14 |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 구성 , 하드웨어 , 중앙처리장치 (CPU) 작동 원리 (0) | 2022.01.11 |
댓글